본문 바로가기
IT/etc

라이트닝 네트워크 노드 구축 (with 라즈베리파이)

by honeybear 2023. 2. 13.

라즈페리파이를 이용한 라이트닝 네트워크 구축 하는 방법입니다.

 

라이트닝 네트워크 노드 구축을 위해 Umbrel이란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라즈베리파이를 위한 OS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설치와 구축 방법이 아주 쉽게 되어 있구요. 서버 구축을 위해 추천하는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 라즈베리파이 4
  • 1TB 이상의 SSD (HDD도 가능하지만 싱크하는데 시간이 아주 오래 걸립니다.)
  • SSD를 인식하기 위한 케이스 (저는 IPTIME 사의 HDD3225 제품 구매)
  • 16GB 이상의 MicroSD (라즈베리파이 OS 설치용)
  • 전원 공급을 위한 USB-C 케이블, 이더넷 케이블
    등등이 있습니다.

    저는 회사에 있는 3D 프린터로 라즈베리파이용 케이스도 제작을 하였습니다. 발열이 심할 것 같아 팬을 설치할 수 있는 케이스로 제작을 하였는데 잘한 것 같네요. 동기화 하는 도중에 뚜껑을 닫아 놓으니 온도가 높다는 경고가 뜹니다.

 

 

설치는 Umbrel 사이트에 아주 친절하게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10개의 Step 으로 총 30분 정도 소요 되구요. 라즈베리파이용 OS 파일을 다운받고. Umbrel에서 제공하는 OS 설치 소프트웨어로 SD 카드에 설치한 후 라즈베리파이를 구동 시키기만 하면 완료가 됩니다.

너저분...

설치가 완료되면 동일한 네트워크(공유기) 상에서 URL로 대시보드 접근이 가능합니다. 파이 4 모델에는 Micro HDMI만 인식이 가능하여 혹시나 모니터 연결할 일이 있을까 하여 다이소에서 5천원 주고 케이블을 사왔는데 필요가 없네요.. 키보드, 마우스도 필요가 없습니다.

비트코인의 모든 블록 들을 열심히 동기화 중입니다. 동기화만 하면 끝나는게 아니라 sats를 구매하여 충전을 하고 노드간 채널을 맺는 작업이 남았습니다. sats를 충전해야 노드 간 거래 수수료가 발생을 한다고 하는데 요 부분은 좀 더 공부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댓글